본문 시작

2020학년도 CHARM교양역량지수 기반 교양교육과정 기초연구보고서
대학교육혁신본부
본 보고서는 CHARM 핵심역량 기반의 교양교육과정 분석을 하였음. 향후 교양교육과정 개선 및 교육계획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함.

2020학년도 SMU교육혁신 연구보고서
대학교육혁신본부
본 연구는 2020년에 수행한 교육성과관리센터와 비교과통합관리센터의 업무를 기반으로 수행한 연구 결과물임. 우리대학이 미래 교육의 새로운 트렌드에 맞춰 대학교육혁신과 관련된 전반적인 문제를 연구·개발하기 위해 실시하였으며, 세명대학교 교육혁신에 대한 정책제언을 담고 있음.

2020학년도 CHARM역량지수 결과보고서
대학교육혁신본부
본 보고서는 2020학년도 전체 역량지수 및 역량별 역량지수 결과를 분석하였음.

2020학년도 SMU교육수요자만족도조사 결과보고서
대학교육혁신본부
본 보고서는 2020학년도 세명대학교에 대한 교육수요자(재학생, 학부모, 기업체, 졸업생, 지역주민)의 교육만족도를 평가하고, 요구사항을 분석하였음.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이 향후 추진·개선할 실천방안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교육수요자 만족도 조사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함.

2020학년도 2학기 SMU비대면교육설문조사 결과보고서
대학교육혁신본부
본 보고서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급변하게 된 우리대학 교육환경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비대면 수업 현황 및 재학생·교원의 경험 및 만족도를 파악하고자 함.

2020학년도 대학혁신역량진단조사 결과보고서
대학교육혁신본부
우리대학 환경 및 문화를 진단하여 교육의 질 및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외부기관 주관 조사.

2020학년도 학부교육실태조사 결과보고서
대학교육혁신본부
우리대학 학부교육 실태를 점검하고, 교육의 질과 성과를 객관적으로 진단하여 교육의 질을 제고하기 위한 외부기관 주관 조사.

2020학년도 1학기 SMU비대면교육설문조사 결과보고서
대학교육혁신본부
본 보고서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급변하게 된 우리대학 교육환경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비대면 수업 현황 및 재학생·교원의 경험 및 만족도를 파악하고자 함.

2020학년도 CHARM역량자가진단 결과보고서
대학교육혁신본부
우리대학의 장기적인 비전과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학생역량 자가진단도구임. 역량별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부족한 역량증진 및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을 모색하고자 함.

2019학년도 CHARM교양역량지수 기반 교양교육과정 기초연구보고서
대학교육혁신본부
본 보고서는 CHARM 핵심역량 기반의 교양교육과정 분석을 하였음. 향후 교양교육과정 개선 및 교육계획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함.

2019학년도 CHARM역량지수 결과보고서
대학교육혁신본부
본 보고서는 2019학년도 전체 역량지수 및 역량별 역량지수 결과를 분석하였음.

2019학년도 캠퍼스환경진단조사 결과보고서
2020. 02(대학교육혁신본부)
우리대학 환경 및 문화를 진단하여 교육의 질 및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외부기관 주관 조사.

2019학년도 학부교육실태조사 결과보고서
2020. 02(대학교육혁신본부)
우리대학 학부교육 실태를 점검하고, 교육의 질과 성과를 객관적으로 진단하여 교육의 질을 제고하기 위한 외부기관 주관 조사.

2019학년도 SMU교육수요자만족도조사 결과보고서
2020. 02(대학교육혁신본부)
본 보고서는 2019학년도 세명대학교에 대한 교육수요자(재학생, 학부모, 기업체, 졸업생, 지역주민)의 교육만족도를 평가하고, 요구사항을 분석하였음.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이 향후 추진·개선할 실천방안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교육수요자 만족도 조사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함.

CHARM역량지수 모델링 연구보고서
2020. 01(대학교육혁신본부)
본 보고서는 교육성과를 판단하고 학생들의 역량이 길러졌음을 나타내는 정량적 지수 개발에 관한 사항을 담고 있으며, 타 대학과 차별화된 우리대학만의 지표로 활용되고 있음.

2019학년도 CHARM역량자가진단 결과보고서
2019. 08(대학교육혁신본부)
우리대학의 장기적인 비전과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학생역량 자가진단도구임. 역량별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부족한 역량증진 및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을 모색하고자 함.

2018학년도 학부교육실태조사 결과보고서
2019. 02(대학교육혁신본부)
우리대학 학부교육 실태를 점검하고, 교육의 질과 성과를 객관적으로 진단하여 교육의 질을 제고하기 위함.

2018학년도 SMU 교육수요자 만족도 조사 결과보고서
2019. 02(대학교육혁신본부)
본 보고서는 2018학년도 세명대학교에 대한 교육수요자(재학생, 학부모, 기업체, 졸업생)의 교육만족도를 평가하고, 요구사항을 분석하였음.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이 향후 추진·개선할 실천방안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교육수요자 만족도 조사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함.

2018학년도 SMU 교육혁신연구보고서
2018. 12(대학교육혁신본부)
본 연구는 2018년에 수행한 교육성과관리센터와 비교과통합관리센터의 업무를 기반으로 수행한 연구 결과물임. 우리대학이 미래 교육의 새로운 트렌드에 맞춰 대학교육혁신과 관련된 전반적인 문제를 연구·개발하기 위해 실시하였으며, 세명대학교 교육혁신에 대한 정책제언을 담고 있음.

2018학년도 CHARM역량 자가진단 결과보고서
2018. 06(대학교육혁신본부)
우리대학의 장기적인 비전과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학생역량 자가진단도구임. 역량별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부족한 역량증진 및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을 모색하고자 함.

교육수요자 만족도와 교내 데이터 통합을 기반으로 한 교육성과분석
2018. 03(대학교육혁신본부)
본 연구는 우리대학의 영역별 데이터를 통합한 '데이터 웨어하우스(Data Warehouse)'를 활용함. 교육수요자 만족도와 교내 데이터 통합을 기반으로 우리대학 재학생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교육성과 분석결과 활용 및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함.

2017학년도 SMU 교육수요자 만족도 조사 결과보고서
2018. 02(대학교육혁신본부)
본 보고서는 2017학년도 세명대학교에 대한 교육수요자(재학생, 학부모, 기업체, 졸업생)의 교육만족도를 평가하고, 요구사항을 분석하였음.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이 향후 추진·개선할 실천방안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교육수요자 만족도 조사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함.

비교과 프로그램 발전 방안
2018. 02(대학교육혁신본부)
본 연구는 타대학의 비교과 프로그램 사례 및 우리대학의 비교과 현황을 파악하고, 재학생 설문조사 및 인터뷰를 통해 우리대학 비교과 프로그램의 발전 방안에 대해 탐색하고자 함.

2017학년도 구성원 요구조사 보고서
2017. 12(대학교육혁신본부)
본 보고서는 2017학년도에 실시한 구성원 요구조사로, 우리대학 교육의 질 향상과 학교 발전을 위해서 구성원의 의견을 청취하고자 교원, 직원, 조교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함.

2017학년도 CHARM역량 자가진단 결과보고서
2017. 06(대학교육혁신본부)
우리대학의 장기적인 비전과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학생역량 자가진단도구임. 역량별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부족한 역량증진 및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을 모색하고자 함.

2016학년도 SMU 교육수요자 만족도 조사 결과보고서
2017. 05(대학교육혁신본부)
본 보고서는 2016학년도 세명대학교에 대한 교육수요자(재학생, 학부모, 기업체, 졸업생)의 교육만족도를 평가하고, 요구사항을 분석하였음.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이 향후 추진·개선할 실천방안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교육수요자 만족도 조사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함.

CHARM 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에 관한 연구
2017. 03(대학교육혁신본부)
본 연구는 세명대학교 핵심역량 진단도구(CHARM역량 진단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함. 진단도구 사용을 통해 향후 재학생 CHARM 역량진단 및 모니터링, 그리고 역량기반 학부교육 운영 등에 활용하고자 함.

재학생의 세명대 인지 및 선택 요인 조사 결과보고서
2016. 11(대학교육혁신본부)
본 보고서에서는 재학생의 우리대학에 대한 인지, 선택, 홍보 관련 정보를 조사하여, 향후 우리 대학의 입시홍보 정책 수립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음

입학자원 특성에 따른 교육성과 분석 - 2009~2014년 입학생 대상
2016. 05(대학교육혁신본부)
본 보고서의 목적은 우리대학의 입학자원 특성을 살펴보고 입학자원의 특성이 교육성과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밝히는 것임. 실증적 자료 분석을 통해 입학자원 특성과 교육 성과 간 관계를 확인하고, 교육성과 제고 방안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도록 함.

2015학년도 교육수요자만족도조사 보고서
2016. 10(대학교육혁신본부)
본 보고서를 통해 2015년학년도 재학생(전수조사), 졸업생, 학부모, 기업체를 대상으로 세명대학교에 대한 교육수요자의 교육만족도를 평가하고 요구사항을 분석하였음.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이 향후 추진·개선할 실천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함

미드필더 설계 및 상담 교과목 운영 핸드북
2016. 08(대학교육혁신본부)
본 핸드북은 책임지도교수제의 내실화를 위해 체계적인 학생 상담·지도와 효과를 제고하고자 제작되었음. ‘학생상담 및 교수법’, ‘프로그램 구성’, ‘활동지’ 등으로 구성되어 있음.

데이터 기반 교육성과 제고 방안 - K-CESA, K-NSSE 조사결과를 중심으로
2015. 05(대학교육혁신본부)
본 보고서는 본교의 K-CESA와 K-NSSE 조사결과(2011-2014)를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데이터에 기반한 학부교육 질 제고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개선, 교육 제공에 활용하고자 함.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관련 방안을 제시함

2014학년도 교육수요자만족도조사 보고서
2015. 02(대학교육혁신센터)
본 보고서는 교육의 질 제고와 잘 가르치는 대학이 되기 위해, 교육 수요자(재학생, 학부모, 기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4학년도 만족도 조사 결과 보고서임. 본교 교육 목표, 교육과정 및 운영, 지원체계와 교육 환경에 대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전반적 교육 서비스 품질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도록 함.
- 담당부서 : 교육성과관리센터
- 담당자 : 염진선
- 연락처 : 043-649-7167
- 최종수정일 : 2021-06-29